건보공단 국민의식 조사
우리 국민이 희망하는 건강보험 보장률은 평균 73.7%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보장률인 72.7%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 10명 중 4명은 건강보험 보장성이 확대된다면 건강보험료를 추가로 낼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국민건강보험공단은 올해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국민 2000명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은 35.4%가 70%대의 건강보험 보장률을 원했고, 27.2%는 80%대의 보장률을 원했다고 25일 밝혔다.
건강보험 보장률은 전체 의료비 가운데 건강보험에서 부담하는 급여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하며, 2014년 기준 건강보험 보장률은 63.2%다.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나머지 36.8%의 진료비는 본인이 전액 부담해야 한다. 조사 대상 2000명 가운데 1737명(86.9%)이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진료비 부담에 대비해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했으며, 매달 평균 보험료로 32만 3000원을 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건강보험 보장률이 낮다 보니 민간보험과 공보험 보험료를 이중으로 부담하고 있는 것이다.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건강보험 보장성을 충분히 확대할 수 있다면 건강보험료를 추가 부담할 의사가 있는지 조사한 결과 39.6%는 ‘부담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반면 46.7%는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는 찬성하지만, 건강보험료를 추가로 부담하는 것은 반대한다’고 답했다. 또 10.6%는 ‘현재 보장성 수준을 유지하고 나머지 진료비는 민간의료보험 등을 통해 개인이 선택적으로 대비하도록 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날로 증가하는 의료비 조달 방안에 대한 질문에는 가장 많은 35.4%가 ‘국가 예산 항목 중 다른 부분의 비중을 축소하는 대신, 보건의료부분에 대한 국가지원 비중을 확대해 조달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12-26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