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행정플랫폼’으로 자리잡아
공무원 업무용 모바일 메신저 ‘바로톡’이 출시 2년 만에 가입자 15만명을 돌파했다. 민간 메신저의 업무 활용으로 인한 중요 자료의 외부 유출과 정부 자료의 민간 서버 축적 위협이 증가하는 가운데 바로톡이 새로운 모바일 행정플랫폼으로 자리를 잡은 것이다.
|
바로톡은 최적화된 전자정부 서비스를 강조하는 김성렬 행자부 차관의 아이디어로 만들어진 공무원 메신저다. 바로톡이 만들어진 것은 세종청사 이전 등으로 공무원들이 이동과 출장 중 업무를 보며 실시간 소통하는 일이 많아졌지만 주요 자료의 외부 유출에 대한 우려도 그만큼 커졌기 때문이다. 민간 메신저를 사용하다 실수로 동료 공무원이 아닌 가족이나 친구에게 정책 자료를 전송해 이를 삭제해 달라고 요청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는 게 행자부의 설명이다.
바로톡의 장점은 메시지를 암호화해 송수신하고, 사용자 인증 강화와 화면 캡처 방지 등으로 중요 자료의 외부 유출 등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대화 내용이 서버에 저장되지 않아 보안도 걱정이 없다.
특히 김 차관은 최근 2개월간 바로톡을 통해 2000여건(하루 평균 35회)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등 직접 바로톡을 이용하며 사용자 입장에서 세밀한 부분까지 수정 의견을 내고, 개선을 위한 조언을 했다.
행자부 관계자는 “사진이나 문서 전달 등 민간 메신저 수준의 기능성을 제공하고, 대화 미수신자 확인과 조직도를 통한 타 부처 공무원과의 소통 등 바로톡만의 특징을 지속적으로 추가하고 있다”며 “내부 업무 PC에서 바로톡으로 파일 송신, 국민신문고 등 행정시스템 알림 서비스 연계, 챗봇을 통한 간단한 결재 처리 등을 추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6-12-2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