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보건복지부의 ‘의약품 소비량 및 판매액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국민 1인당 의약품 판매액은 49만원으로, 2014년 47만원에 비해 소폭 증가했다.
의약품 판매액은 쉽게 말해 국민이 의약품을 구매한 금액이다. 처방의약품, 일반의약품 등 의약품 구매비용과 병원과 약국의 조제료 등을 모두 합한 금액이다.
국내 1인당 의약품 판매액은 2014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다. 자료를 제출한 29개 국가 가운데 돈을 많이 지출한 순서에서 15위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국민은 소화제 등 소화기관 및 신진대사에 쓰이는 의약품, 항생제를 일컫는 전신성 항감염약, 근골격계 치료제에 쓰는 비용은 OECD 평균보다 많았으나 심혈관계, 비뇨생식계, 성호르몬 관련 의약품 판매액은 평균보다 낮았다. 특히 우울증 치료제 판매액은 1인당 4달러에 불과해 OECD 평균인 11달러보다 훨씬 낮았다. 의약품 연간 판매액은 2013년 22조 5600억원에서 2014년 23조 6700억원, 2015년 24조 5600억원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7-02-1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