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첫 돌파… 총 2129명
절반 이상이 대기업 근무자‘아빠의 달’ 이용자도 94%↑
|
19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남성 육아휴직자는 2129명으로, 전체 육아휴직자 2만 935명 가운데 10.2%를 차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이 6.5%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무려 3.7% 포인트나 늘어난 것이다. 고용부는 현재의 추세가 이어질 경우 올해 연말까지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이 10%를 무난히 넘어설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지난해는 전체 육아휴직자 8만 9794명 가운데 남성이 8.5%인 7616명에 그쳤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스웨덴의 남성 육아휴직 비율은 32.0%에 이른다. 독일(28.0%), 노르웨이(21.2%) 등도 비교적 높은 수준이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명 이상 대기업의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이 59.3%로 가장 높았다. 대기업 남성 육아휴직자 수는 지난해와 비교해 68.4% 늘었다. 10~30인 사업장은 50.7%, 10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30.6%가 각각 늘었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절반 이상(61.2%)이 집중돼 있었다. 또 제조업, 건설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에서 남성 육아휴직자가 많았다.
지난해 전체 육아휴직자의 1인당 월평균 급여액은 69만 6000원이었다. 육아휴직급여 상한액(100만원) 수급자는 2만 9699명으로 전체 육아휴직자의 33%를 차지했다. 대기업 근로자의 41.7%, 중소기업 근로자의 23.1%가 상한액을 지급받았다. 하한액(50만원) 수급자는 5415명으로, 전체 육아휴직자의 6.0% 수준이었다.
남성 육아휴직을 유도하기 위해 정부가 도입한 ‘아빠의 달’ 이용자 수는 올해 1분기 846명으로 지난해 436명보다 94.0% 증가했다. 이 중 남성이 758명(89.5%)이었다.
아빠의 달은 같은 자녀를 돌보기 위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두 번째 사용자의 첫 3개월 육아휴직급여로 통상임금의 100%(최대 150만원)를 지원하는 제도다. 오는 7월부터는 둘째 자녀를 대상으로 아빠의 달을 사용하면 상한액이 200만원으로 높아진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7-04-2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