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웅규 중앙대 교수
“저층 주거지 밀집 지역은 아파트 단지에 비해 어린이집, 작은도서관, 빨래방, 마트 등 편의시설이 부족한 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동네 단위로 주민공동 생활편의시설을 많이 확충해야 하고, 동네 주민 누구나 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배웅규(49) 중앙대 도시공학과 교수의 저층 주거지 재생 방향이다. 폐쇄적인 아파트 단지가 아니라 각종 편의시설을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 마을공동체를 만들어야 한다는 취지다.
배 교수는 30일 “뉴타운·정비사업 해제 지역은 대부분 저층 주거지인데, 장기간 방치돼 슬럼화됐다”며 “주민들은 건축 지식이나 자금 부족 등으로 다시 짓고 싶어도 짓지를 못한다. 공공기관이 나서야 한다”고 했다. 현재 뉴타운·정비구역 683개 구역 중 36%인 324개 구역이 해제됐다. 50%인 327개 구역은 해제와 사업 추진 기로에 서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기간에 “재개발 사업이 중단된 저층 노후 주거지를 살 만한 주거지로 바꾸겠다. 동네마다 아파트 단지 수준의 주차장, 어린이집, 무인택배센터 등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 구상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의 ‘서울형 자율주택정비사업’ 모델과 일맥상통한다. 배 교수는 “서울형 자율주택정비사업이 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을 구현하는 하나의 모델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했다.
배 교수는 2014년 뉴타운사업 해제로 주민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구로구 가리봉동 도시재생을 총괄하고 있다. 그는 “지금껏 한 번도 계획적으로 저층 주거지가 조성된 적이 없다”며 “필지 단위부터 생활권 단위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종합 재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7-05-3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