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행·충돌방지·차선유지 등 작년 특허출원 24건으로 껑충…외국비해 국내사 경쟁력 높아
최근 국내외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자율주행차 시험에 나서는 가운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주행제어기술 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6일 특허청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학습기반 주행제어기술에 관한 특허출원은 104건에 달한다. 2011년 이전까지 연평균 2건에 불과했지만 2011년 15건이 출원된 뒤 지난해 24건으로 5년 만에 대폭 늘었다.
|
차량의 자기학습은 물체와의 상대 거리나 속도 등에 따른 운전자의 성향을 파악해 운전자 맞춤형으로 주행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인데 운전의 안정성을 높이고 운전자 피로도를 줄이는 효과로 이어진다. 카메라 영상에 물체의 일부가 촬영되더라도 가려진 영역을 추정해 물체가 차량인지, 보행자인지를 구분하는 등 도로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는 데도 활용된다.
출원 기술은 정속주행·충돌방지가 46건으로 가장 많고, 차선유지(23건), 주차보조(12건), 기타 운전자 이상 검출 등의 순이다. 출원인은 현대·기아차(34건), 현대모비스(19건), 만도(10건) 등 대기업 자동차 및 관련 업체들이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반면 외국 업체 출원은 2건에 불과해 주행제어기술 중 학습을 이용하는 분야는 국내 기업의 기술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7-06-0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