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군에 따르면 2010년에 사업비 60억원(국비 54억·군비 6억원)을 들여 수심 720m에서 끌어올린 해양 심층수를 이용해 오징어를 씻어 말릴 수 있는 심층수 공급 시설을 울릉 저동항 동해어업전진기지에 만들었다.
하루 최대 1800t, 평균 1600t의 해양 심층수를 끌어올려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해양 심층수로 특산물인 오징어를 씻어 말리면 오징어 특유의 비린내 제거와 함께 신선도를 유지해 오징어의 맛과 향이 월등하게 좋아진다는 점에 착안했다.
그러나 이 해양심층수 공급 시설은 2014년 11월 취수관로가 파손돼 지금까지 3년간 취수를 못하고 있다. 군은 2015년에 약 2억원을 들여 보수공사를 벌였으나 아무런 성과를 얻지 못했다. 군은 지금도 관로 파손 위치를 파악조차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막대한 혈세만 낭비했다는 비난의 목소리가 나온다.
울릉 주민들은 “울릉군이 지역 특산품 차별화를 위해 많은 돈을 들여 마련한 시설을 수년째 가동조차 못하고 있으니 정말 한심하다”면서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였다.
울릉군 관계자는 “심층수 취수가 안 되는 이유는 보수공사를 한 수심 30m 보다 깊은 위치에 있는 취수관이 피항 온 중국어선의 닻 끌림에 파손된 것으로 추측된다”며 “정확한 사고 지점을 찾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첨단 해양 관련장비로도 해결이 안되고 있다”고 말했다.
울릉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