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와 미래’ 세미나서 주장
“수도권의 R&D시설 유치 지원대전·청주 등과 공동전략 필요”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의 발전은 자족기능 확충에 달렸다는 주장이 나왔다. 19일 주택건설포럼이 세종시청에서 개최한 ‘행복도시의 성과와 미래’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행복도시의 발전을 위해서는 공공서비스 편중에서 벗어나 민간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세훈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행복도시 발전 전제조건으로 도시기능 강화, 개발 속도 조절, 적정 인구밀도 유지, 주변 지역과 상생협력을 꼽았다.
박 연구위원은 “현재 행복도시 산업의 대부분은 공공부문이 차지하고 있다”며 “앞으로 교육, 산업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대안으로 단순 제조업보다는 공공기능에서 파생되는 공공비즈니스 산업을 유치하고 발전시킬 것을 제시했다. 수도권에 몰려 있는 기업 연구개발 시설과 핵심 시설을 유치할 수 있게 국가 차원의 지원이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2, 3단계 도시개발 속도 조절도 제안했다. 박 위원은 “지금까지는 정부부처 이전과 주택건설이 행복도시의 성장을 견인했지만 세계적인 모범도시, 혁신이 창출되는 도시를 조성하려면 민간 자족기능을 충족하는 도시개발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적정 주거밀도 유지와 주변 도시와의 상생발전 전략도 주장했다. 현재 행복도시 주거밀도는 수도권 신도시 수준을 넘어서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아직 개발되지 않은 5·6생활권의 주거밀도를 애초 목표(300명/㏊)를 유지하는 선에서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행복도시 자체 독립된 공간만으로는 성장할 수 없어 대전, 공주, 청주 등 주변 지역과 공동 발전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할 것도 주문했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8-06-2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