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종로와 동대문에 조성된 ‘한 줄 가로수’, ‘하층 숲 가로수’, ‘벽면 숲 가로수’에서 미세먼지 농도 감소와 기온 하강 효과를 측정한 결과 하층 숲의 변화가 가장 뚜렷했다.
피실험자가 땡볕에 있다 도시 숲에서 10분간 휴식을 취하자 얼굴표면 온도가 한 줄 가로수에선 평균 1.8도, 하층 숲 가로수에선 4.5도, 벽면 숲 가로수에선 3.9도 내려가는 효과를 보였다.
미세먼지 농도는 하층 숲 가로수에서 PM10 32.6%, PM2.5 15.3%, 벽면 숲 가로수에서는 PM10 29.3%, PM2.5 16.2%가 각각 낮아지는 것으로 측정됐다.
연구진은 “하층 숲과 벽면 숲 가로수에서 기온이 낮은 것을 숲이 지붕 역할을 해 ‘그늘’을 제공하고 나뭇잎의 ‘증산작용’, 하층과 벽면 숲에 의한 ‘반사열 저감’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하층 숲과 벽면 숲은 단위면적당 잎 면적을 증가시켜 미세먼지를 붙잡아 주면서 미세먼지와 폭염을 완화하는 ‘더블효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권진오 산림과학원 도시숲연구센터장은 “지가가 높은 도시에서 규모있는 숲 조성이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입체적인 숲 조성으로 기능을 확대하는 노력이 요구된다”면서 “지열과 반사열을 흡수할 수 있는 하층 숲과 벽면 녹화에 대한 시도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