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는 전년대비 212% 증가한 815건
미세먼지와 호흡기 질환 유행 등으로 개인 건강과 위생의 최후 보루로 마스크 사용이 늘면서 관련 디자인 출원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
호흡기질환과 미세먼지 공포에 최근 10년간 마스크 디자인 출원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는 전년대비 212% 증가한 815건이 출원됐다. 특허청 제공 |
마스크 관련 출원은 2009년 신종플루(H1N1)와 2013년 미세먼지 예보 및 유해성 인식 확대,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발생 등을 계기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호흡기 질환과 미세먼지의 두려움에 마스크 수요가 확대되고 관련 산업이 성장한 것도 출원 활성화로 이어졌다.
출원인은 개인이 63.8%(1327건)를 차지했고 중소·중견기업(602건), 외국인(96건) 등의 순으로 사용 불편에 따른 아이디어와 해외에서 성능이 검증된 디자인 출원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디자인 순환주기가 짧고, 모방이 쉬운 물품의 특성상 조기 권리를 부여하는 일부심사등록출원이 78.4%(1630건)에 달했다.
특허청은 지난해 12월부터 일부심사등록출원 대상물품의 빠른 심사를 위해 처리기간을 60일에서 10일 내외로 대폭 단축해 신속한 권리화를 뒷받침하고 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