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장기화 대비 음압병상 등 확보” WHO “우리의 가장 큰 위험은 방심” 美 FDA “재유행 틀림없이 가능한 일”
24일 서울 올리브영 명동본점에서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으로 계산대 앞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기할 수 있도록 발자국모양이 그려져 있다. 2020.3.24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23일 브리핑에서 “올가을·겨울에 코로나19 2차 유행이 올 것에 대비하고 있다”며 “에크모(체외막산소공급장치) 장비와 음압병상 등 중환자 치료에 필요한 시설을 충분히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인구 집단의 면역 자체가 형성되지 않고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재유행할 가능성이 있어 충분히 대비해야 한다는 게 모든 부처의 공통된 인식”이라며 “코로나19 장기화 전망 속에 좀더 세밀하게 챙겨야 할 부분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가장 피해가 심각한 미국에서도 연일 보건당국자들이 경고음을 울리고 있다. 스티브 한 미 식품의약국(FDA) 국장은 하반기 2차 유행 전망에 대해 “틀림없이 가능한 일”이라며 “(코로나19) 태스크포스(TF)의 모든 의사가 2차 유행을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날 로버트 레드필드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국장도 “다가오는 겨울 우리나라에 대한 바이러스의 공격이, 우리가 막 겪은 것보다 실제로 더 힘들 가능성이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0-04-2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