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지역 산림의 미래 보고서’에서 평가
우리나라의 입목 축적 증가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13일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12일 폐막한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산림위원회(COFO)에서 FAO가 발간한 ‘아시아·태평양지역 산림의 미래‘ 보고서에서 최근 25년간(1990∼2015년) 한국의 산림자원 증가율이 세계 1위로 나타났다.
이 기간 한국의 임목 축적은 1㏊당 50㎥에서 148㎥로 196%(98㎥) 증가했다. 후순위인 폴란드·덴마크·영국 등과 3배 이상 격차를 보였다. ㏊당 임목축적 증가량은 슬로베니아(116㎥)와 폴란드(102㎥)에 이어 3위(98㎥)에 올랐다.
그러나 1㏊당 임목축적은 뉴질랜드(392㎥), 스위스(352㎥), 슬로베니아(346㎥), 독일(321㎥), 오스트리아(299㎥), 체코(297㎥) 등에 비해 여전히 낮았다. 한국이 산림 강국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67%를 차지하는 사유림과 200만명이 넘는 산주 등 구조적 한계 극복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COFO는 2년마다 열리는 산림분야 최대 국제 행사로 각 국의 산림정책을 공유하고 전 세계 및 대륙별 산림 관련 정보·통계를 발표하는 회의다. 당초 6월 개최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영향으로 연기돼 지난 2~12일까지 화상 회의로 열렸다. 특히 회의 전체 의장을 신원섭 충북대 교수가 맡아 내년 5월 산림청과 FAO가 공동 개최하는 세계산림총회(WCF) 준비상황을 별도 의제로 다뤘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