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집 “대화는 무의미… 비타협적 투쟁”
복지 차관 “의협 선제 요건 제시 부적절”
|
최대집(가운데) 대한의사협회 회장. 2020.8.28 연합뉴스 |
의협은 29일 성명서에서 “의사국시 해결 없는 의정협의체 제안은 받아들일 수 없으며, 보건의료체계의 파국을 막기 위해 교수, 전공의, 개원의, 봉직의 등 의료계 전 직역의 뜻을 모아 강력한 행동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의협은 “향후 대응은 확대·개편 중인 범의료계투쟁위원회(범투위)를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강력한 행동의 수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으나, 최대집 의협 회장이 ‘투쟁’을 시사한 상태다.
최 회장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정부와) 더이상의 대화는 무의미하며 금일부터는 행동 대 행동의 원칙만 있을 뿐”이라며 “비타협적 전국 투쟁으로 나아갈 것이다”고 적었다. 단 전국 투쟁이 곧 파업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의협은 의대생 국시 응시는 보건의료체계의 유지와 국민 건강권을 위해 해결돼야 하는 문제라고 재강조했다.
정부는 의대생들의 국시 재응시를 허용하는 데에는 국민들의 동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면서 의정협의체의 선제 조건으로 의대생 국시 문제를 거론하는 것도 적절치 않다는 입장이다.
이창준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도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강력한 행동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겠다. 정부는 성실히 대화에 임할 뿐”이라고 말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20-10-3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