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강립 전 복지부 차관 임명… “깜짝 발탁”
식약처가 2013년 식약청에서 처로 승격한 뒤에는 복지부 출신 수장이 없었습니다. 직원들이 이번 인사를 이례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이유인데요. 이의경 전 처장은 약사 출신 교수였고, 초대 처장은 농림수산식품부(현 농림축산식품부) 제2차관 출신인 정승 전 처장이었습니다. 1998년 개청한 식약청 시절에는 복지부 외청이다 보니 복지부 실장급들이 청장을 맡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복지부에서 독립해 국무총리 산하 기관이 된 이후로는 그런 관행이 끊겼죠.
복지부는 식약처의 김강립호(號) 출범을 반기는 분위기입니다. 복지부 관계자는 “복지부 출신이 식약처장으로 가는 게 나쁘지 않다. 최근에 류근혁 인구정책실장도 청와대 사회정책비서관으로 가고 다들 쭉쭉 뻗어나가고 있어 내부 분위기는 좋다”고 말했습니다. 업무적인 부분에서도 기대감이 있습니다. 내년이면 코로나19 관련 치료제와 백신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효과·안전성을 검증하는 식약처 수장이 복지부 출신이니 협업이 잘될 거라고 보는 겁니다. 일각에서는 식약처가 ‘독립성 훼손’으로 여기지 않겠느냐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코로나 치료제·백신 등 업무 협업 기대감
차기 복지부 장관 후보 물망에 오르기도 했던 김 처장 개인에게도 최선은 아니지만 나쁘지 않은 자리라는 평도 있습니다. 차관급이지만 기관장으로서 대통령이나 총리 주재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인사권 등을 직접 행사할 수 있으니 ‘2인자’ 시절보다는 낫지 않겠냐는 분석이죠. 코로나19 확산이 이어질 수 있는 상황에서 복지부와 식약처가 협업해 종식 때까지 잘 대응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20-11-0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