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동현 의원(더불어민주당, 성동1)은 지난 11일 제298회 정례회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 참석하여 학교 운동장을 메워 주차장을 만드는 일부 학교들의 행태를 지적한 후 교육청 차원의 재발방지 대책을 주문했다.
서울시교육청이 이동현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8년~2020년 10월) 학교 운동장 면적을 축소한 사례가 총 8곳이나 존재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는 이들 중 5곳의 학교는 주차장을 늘리기 위한 목적으로 운동장 면적을 축소했다는 점이다. 이 의원은 이날 서울시교육청 교육행정국장을 향해 “학교의 주인은 학생들이고, 운동장은 엄연히 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존재하는 공간인데 학생들이 이용할 운동장은 줄이고 정작 교직원과 외부인들이 이용할 주차장을 늘리는 행태는 납득할 수 없다”며 질타했다.
이어 “학교 내 주차장이 협소하다면 시청, 구청 등과 협의해서 공용주차장 등을 활용하는 것이 맞다”며, “이러한 사례들은 아이들을 교실에만 가두고 체육활동을 위축시키는 방향으로 역행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이 의원은 “서울 관내 학교 운동장은 도심지 특성 상 학생은 물론 시민의 공유 활동 공간으로 자리잡은 상황이므로 정말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면 면적 축소는 가급적 지양돼야 한다”며 “학생들이 맘껏 뛰놀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주기 위해서라도 교육청 차원의 강력한 재발방지 대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