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버설디자인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담은 콘텐츠 구축 강조
|
또한 해당 사업은 시민들이 주체가 되어 UD제품・서비스를 체험하며 편견, 불편, 니즈를 발산하고 수집하는 공간을 조성하는 것인 만큼 UD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의 명칭에 대해서도 시민들에게 직관적이고 유니버설디자인의 다양성과 포용성이라는 가치를 담을 수 있는 공간 명칭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오 의원은 서울 유니버설디자인 도시 조성을 위해서는 이를 수행하는 서울시 디자인정책과, 서울디자인재단,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센터 간의 유기적이고 효율적인 연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재단의 UD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은 UD산업 육성과 시민참여 전시 등을,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센터는 모니터링과 컨설팅 등을 담당하고 서울시 디자인정책과는 주무부서로서 UD 정책개발 등에 주력해 줄 것을 주문했다. 뚜렷한 업무분장을 통해 기관 간의 책임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서울시의 UD정책, 서울시 UD센터의 시민인식개선 및 연구사업과 차별화하여 모든 시민이 주인공이 되는 열린 디자인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콘텐츠 구성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