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일·생활 균형지수’ 분석
서울 58.8로 1위… 울산 43.3으로 꼴찌
제주 9.2점 뛰어 56.7… 최대 폭 개선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2019년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에 따르면 전국 평균보다 일·생활 균형 지수가 높은 지역은 서울(58.8점), 제주(56.7점), 부산(56.2점), 전남(55.2점), 대전(53.7) 순이다. 반면 울산(43.3점), 경북(43.8점), 충남(46.0점), 경남(46.2점), 전북(47.4점), 강원(48.4) 등은 평점보다도 낮았다. 전국 평균 지수는 100점 만점에 50.5점으로 2018년(50.1점)보다 평균 0.4점 오르긴 했지만 여전히 기대엔 못 미쳤다.
‘일’ 영역의 전국적 현황을 보면 초과 노동시간이 감소(13.3시간→12.2시간)하고 휴가 일수가 증가(5.5일→6.2일)하는 등 일에 대한 부담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활’ 영역에서는 남성의 가사노동 분담 비중이 증가(19%→22.9%)하고, 일과 가족 중 ‘일 우선’이란 답변이 감소(41.2%→40.3%)했다. 일 중심 문화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8년과 비교해 일·생활 균형지수가 가장 크게 개선된 곳은 제주(47.5점→56.7점)였다.
일·생활 균형 지수는 일·생활·제도·지방자치단체 관심도 등 4개 영역 24개 세부 지표를 실태조사해 산출한 점수다. 일 영역에선 총노동시간, 초과 노동시간, 휴가기간, 유연근무제 도입률, 유연근무제 이용률을 평가한다. 생활 영역은 남성 가사노동시간 비중, 여성 취업에 대한 견해, 가사 분담에 대한 견해, 일과 가족생활 우선도, 평일 여가시간, 평일 여가시간 충분도, 일·여가생활 균형 정도를 본다. 제도 영역에선 남녀 육아휴직 사용 사업장,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사용 사업장,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 사업장, 국공립 보육시설 설치율, 초등돌봄교실 이용률, 일·가정 양립제도 인지도를 살핀다. 마지막으로 이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도를 평가해 최종 점수를 매긴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0-12-31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