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은 16일 KOICA에 대한 감사 보고서를 공개하고 지난 2019년 KOICA가 다음 회계연도 예산안에 반영돼 있거나 예산 편성 절차를 거치지 않은 사업비 140억원을 임의 집행했다고 밝혔다.
감사원에 따르면 KOICA 직원들은 국회와 외교부로부터 다음 회계연도 사업비를 미리 집행하는 관행을 개선하라는 지적을 받고도 확정되지 않은 예산을 전용해 사업비를 미리 집행했다. 27억원 규모의 해외 봉사단원용 물품 구매대행 계약을 체결하면서 한 업체와 물품 사양과 개수 등을 줄여 낮은 금액에 일단 계약한 뒤 이후 계약 금액을 임의로 증액해주기도 했다.
또한 직원들의 해외 근무 기피를 이유로 당초의 일반직 증원 계획과 비교해 국내에 더 많은 인력을, 해외에는 더 적은 인력을 배정한 것도 드러났다. 2019년 국내 12명, 국외 39명을 각각 증원한다고 기획재정부와 협의했지만 정작 국내에 이보다 많은 38명을, 국외엔 24명만 추가 배정했다.
인공지능(AI) 면접을 도입해 신규 직원을 채용하는 과정에서도 네트워크 환경으로 발생한 문제 때문에 미응시자로 분류해 불합격 처리하는 등 채용과정에서도 문제가 드러났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