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장 부지에 10㏊ 규모 휴양숲 조성
경남 하동군 섬진강변에 방치돼 있는 하동비행장이 59년 만에 없어지고 그 자리에 숲이 조성된다.하동군은 섬진강변 하동비행장(헬기 예비작전기지) 폐쇄 안건이 포함된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 시행령’ 개정안이 최근 국무회의를 통과해 28일 공포된다고 27일 밝혔다. 이에 따라 1963년 국방부가 군사 훈련을 위해 하동읍 비파리 섬진강변에 길이 510m, 면적 2만 7901㎡ 규모로 지정한 하동비행장이 28일부터 완전 폐쇄된다.
하동군은 하동비행장이 59년 간 사용되지 않은 채 천연기념물 제445호 하동송림과 생태하천인 섬진강 주변 경관만 훼손하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특히 주변 국도 2호선 확장 및 경전선 복선화 사업으로 경비행장 기능을 상실한 채 방치돼 있었다.
하동군과 군민은 방치된 경비행장 부지를 활용하기 위해 2018년 ‘섬진강 수변공원 내 국방부 소유 부지 활용 청원서’를 내는 것을 시작으로 2019년 군민 1500여명이 서명한 ‘경비행장 이전 촉구 탄원서’, 2020년 ‘경비행장 폐쇄 촉구 탄원서’를 청와대·국회·국방부·국민권익위에 제출했다. 관계기관을 수십차례 찾아가 항의하기도 했다.
하동군은 폐쇄된 비행장 부지를 하동송림과 연계한 ‘하동 숲 조성사업’ 계획에 넣어 활용할 예정이다. 부지 매입을 위해 내년에 해당 부대와 국유재산 관련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하동 숲 조성사업은 하동송림 주변 테니스장·농구장·야구장 등 체육시설을 현재 조성 중인 하동스포츠파크로 옮기고 그 자리에 10㏊ 규모로 휴양숲, 기념숲, 체험테마숲을 조성하는 게 골자다.
하동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21-12-2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