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위 행정사무감사서 ‘자동심장충격기 보급 확대 등 개선요구’
“이태원 참사 대응 심리상담도 지속 지원 돼야”
이 의원은 최근 이태원 참사 현장에서 실제 이용 가능한 자동심장충격기가 턱없이 부족했다는 기사를 소개하고, 서울시 자동심장충격기 중 심야시간 이용가능 비율 및 관리현황에 대해 질의했다.
한편, 이 의원의 요구자료에 따라 서울시에서 제출한 자료를 보면 AED의무설치기관 3,269곳을 포함 전체 9,801여곳 중 심야 이용 가능한 곳은 3,790곳으로 전체의 38%에 불과했다.
또한, 이 의원은 영국의 경우 심폐소생술 교육 이수율이 70%에 달한다는 점을 함께 소개하며, “심정지로 인한 위급상황 발생 시 빠른 대처를 위해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교육 확대 및 AED 위치 홍보 강화와 심야에도 이용 가능한 자동심장충격기 보급이 절실하다”며 서울시 관계부서의 개선을 촉구했다.
이어, 이 의원은 이태원 참사 대응책으로 전 시민 심리지원서비스의 충분한 지원을 요구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