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랜드’ 이후 캐피탈 대출 중단
영세 버스업체들 자금 마련 못 해
수소 버스로 대체하는 사업 차질
22일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현재 전북 전주시에서 기존 시내버스를 수소 버스로 대체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다. 전주 시내버스는 경유 버스 50여대, 압축천연가스(CNG) 버스 320여대, 수소 버스 25대가량이 운영되고 있다. 시는 환경 문제를 일으키는 경유 버스를 퇴출시키고 CNG 버스보다 연비가 좋은 수소 버스를 서서히 늘려 간다는 방침이다. 공기 정화 기능까지 갖춰 대기환경 개선 효과가 큰 수소 버스를 도입해 도심 내 미세먼지 감축 및 친환경 미래에너지 전환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영세 버스 업체에서 수소 버스 구매를 위한 자금이 마르면서 계획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현재 대당 6억 4000만원에 이르는 수소 버스를 구입할 때 국비와 지방비, 현대차 등에서 보조금이 지급된다. 업체는 4000만원가량만 부담하면 구매가 가능하다. 그러나 영세한 지역 버스 업체들은 이마저도 금리가 높은 캐피탈 회사를 통해 구입비를 조달할 수밖에 없다. 레고랜드 사태 등으로 캐피탈 대출이 사실상 올스톱된 상황이다. 여유 자금이 충분하지 않으면 대·폐차가 불가능하다.
전주지역 한 버스회사 관계자는 “연식이 오래된 버스는 최대한 수소 버스로 바꾸고 싶은 마음이 크다”면서도 “보조금이 많을 때 구입하고 싶지만 자금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고 토로했다.
더군다나 지난해부터 반도체 이슈로 출고가 미뤄졌던 차량이 내년에 쏟아져 나올 예정이라 확보된 물량을 다 감당하기도 버거울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 시작된 전주시의 수소 버스 대체 사업은 올해까지 50대 도입이 목표다. 계획대로면 2020년 15대, 2021년 17대, 2022년에는 18대를 도입해 운영했어야 한다. 그러나 반도체 이슈에 차량 출고가 이월되면서 기존 계획을 맞추려면 내년에만 40대 이상 교체가 필요하다. 돈은 없는데 수소 버스 물량만 남아도는 상황에 처한 셈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내년에 40대가 넘는 수소 버스를 도입해야 하지만 업체들이 자금 확보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며 “수소 버스 도입 확대를 위한 지원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주 설정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