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파선·고려청자 수중유물 많아
보관할 곳 없어 타지역에 이관
군산 수중고고학센터 건립 추진
연내 예타 통과·예산 확보 목표
11일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전북도 등에 따르면 수중유물 전시 등을 위한 국립수중고고학 교육훈련센터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내 협소한 인력풀, 대체 인력 부족, 교육기관 부재 등을 타계하기 위한 사업이기도 하다.
군산 비응도에 건립될 국립수중고고학 교육훈련센터는 올해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 신청을 앞두고 있다.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총 1111억원을 투입해 수중문화재 조사·연구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훈련장과 보존센터, 전시관 등을 조성하는 게 목표다. 올해 예타 통과 및 2024년 기본계획수립 용역을 위한 예산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문화재청과 협의해 빠르면 다음달 기획재정부에 예타 대상 사업으로 신청할 계획”이라며 “국립수중고고학 교육훈련센터 건립으로 수중문화재 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해 수중유물의 보고인 군산 해역을 보존·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새만금 지역은 역사적으로 조운선들의 정박지, 수군 진영인 군산진과 사신이 묵었던 객관(客館)인 군산정(群山亭)이 있었던 곳이다. 과거부터 많은 선박이 다녔던 길목이며, 국제무역 항로의 기착지로 서해 연안 항로의 거점 역할을 했던 해역이기도 하다. 따라서 화물로 선적했던 형태의 청자 다발과 고선박에서 사용한 노, 닻과 닻돌 등 선박과 관련된 다양한 유물이 흩어진 상태로 출수돼 조사 해역에 난파선이 매몰됐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020년 이곳에서 고려청자 등 1만 6000여점의 유물이 출수되기도 했다. 그러나 발굴된 유물은 현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목포해양유물전시관 등에서 관리되고 있다. 군산에는 수중문화재를 발굴하고 연구할 기관과 인력이 없기 때문이다.
전주 설정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