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P 공간 일부의 경제정책실 사용 배경에는 DDP의 운영 콘텐츠 부족도 있음을 인지 할 것”
“외부공간과의 연계 위한 사업 추진으로 ‘나 홀로 건축물’이라는 오명에서 탈피해야”
또한 ‘야외 수공간 설계 사업’에 대해 외부공간과의 연계라는 좋은 취지의 사업이므로 형식적인 사업에 그치지 않도록 예산계획을 잘 수립해 진행해 줄 것을 요청했다.
김 의원은 디자인재단 출연금 추경의 ‘DDP 자체수입 손실분 보전’ 내용 중 ‘첨단기술 전시공간 조성에 따른 수입 손실분에 대한 보전’과 ‘시 무상사용 대관수익 감소 초과분에 대한 보전’이 DDP공간 일부에 대해 경제정책실이 사용하게 되면서 발생한 것인지에 관한 확인으로 질의를 시작했다.
김 의원은 “DDP 공간 일부의 경제정책실 사용 배경에는 DDP 운영 콘텐츠가 견고하지 못했음을 분명히 인지해야 한다”고 지적며 “올해를 기점으로 디자인 재단에서 어떤 정체성을 가지고 DDP를 운영해 나갈지에 대해 점검하고 도약하는 기회가 되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김 의원은 추경 사업 중 ‘야외 수건강 설계 사업’ 내용에 대해 질의하며 “그동안 DDP가 주변과의 연계 부족으로 ‘나홀로 건축물’이라는 오명도 받아왔는데, 외부공간과의 연계목적으로 야외 수공간을 조성하는 것은 좋은 취지라고 생각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