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사업장의 시행법인이자 차주인 마곡CP4PFV는 최근 대주단 협의에서 ‘(해당 사업장) 준공을 위해선 대주단의 3500억~3950억원의 추가 출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수치를 제시했다. 대주단 전체가 기존 PF 대출금액(1조 5000억원) 대비 4분의 1 이상의 추가 출자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라 협의가 필요해진 상황이다.
CP4사업장의 대주단은 교보생명(대출한도 3000억원), 신협조합(1200억원), MG새마을금고중앙회(1000억원), 푸본현대생명(1000억원), IBK기업은행(2000억원), 산업은행(1000억원), KB국민은행(1000억원) 등으로 구성돼 있다.
대주단은 추가 자금지원 불가 및 사업장 매각, 대주단 추가 자금 지원 및 보상안 마련, 제3의 금융회사 자금 투입 등의 방안을 선택할 수 있는데, 해당 사업이 좋은 입지에 있고, 국민연금이 선매입 계약을 맺었다는 점에서 투자금 회수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태영건설 대신 자금을 투입하기로 방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추가 출자는 각 회사별로 투자심의위원회를 거쳐야 하는 등 고통이 따르는 만큼 추가 출자를 하는 대주에겐 최선순위로 지위를 격상시켜주거나 높은 금리를 제공해 줄 가능성이 언급된다.
한편 국민연금은 추가 출자를 통해 준공만 예정대로 시킬 수 있다면 계약을 해지하진 않겠단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연금은 지난 2021년 이지스자산운용이 만든 부동산펀드를 통해 CP4에 짓는 업무·상업 복합시설을 준공 조건부로 선매입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2조 3000억원에 사들이기로 하고 두차례에 걸쳐 3500억원 규모의 계약금을 납입했다. 이 계약금은 이미 공사대금 등으로 소진된 것으로 전해졌다.
민나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