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형 곤돌라로 교체 추진
시의회 의결 거쳐 입찰 공고
16일 서울시와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시는 최근 ‘서울대공원 곤돌라 민간투자사업 추진에 대한 동의안’을 시의회 안건으로 제출했다. 대공원 곤돌라 설치를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할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기 위해서다.
대공원은 주차장∼동물원 입구∼맹수사로 이어지는 약 1.75㎞ 구간의 리프트를 모두 폐쇄형 곤돌라로 바꾸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1991년 운영을 시작한 리프트는 너무 낡아 사고 위험이 있고 유모차, 휠체어를 실을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폭우, 폭설 등 날씨의 영향도 크다. 반면 곤돌라는 지붕이 있는 폐쇄형이라 날씨에 구애받지 않는다. 1시간에 최대 2400명이 탈 수 있어 리프트(1350명)보다 수송 능력도 높다. 유모차, 휠체어도 실을 수 있다.
앞서 대공원은 지난 2016년에도 곤돌라 설치를 한 차례 추진했으나 사업성이 낮다는 이유 등으로 보류됐었다.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지만 운영 기간은 짧아 업체 입장에서 비용을 회수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한 번 지어놓으면 30년 동안 관리·운영할 수 있게 해 사업성을 높였다. 앞서 행정안전부 지방투자심사위원회 승인과 서울시 재정계획심의위원회 의결도 통과했다.
대공원은 이번 시의회 동의를 얻은 뒤 우선협상 대상자와의 협상을 거쳐 총사업비, 곤돌라 사용료, 수익률 등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후 리프트를 철거하고 곤돌라로 교체하는 작업이 시작된다. 대공원 관계자는 “시의회 의결을 받게 되면 연말이나 내년 초 구체적인 입찰 공고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유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