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 2019년 이후 5년만에 발생
일행과 현재 제주대병원 격리 치료중
제주도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이 홍역의심 증상이 있어 검사한 결과 양성 판정을 받았다.
제주지역에서 홍역환자가 발생한 것은 2019년 이후 5년 만이다.
제주도는 지난 1일 입도한 외국인 관광객 1명이 홍역 의심증상이 있어 검사결과 6일 저녁 양성 판정을 받아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외국인 확진자는 유럽인으로 베트남에서 한 달 보름가량 체류하다 1월 22일 입국했으며, 제주 입도 전까지는 서울에 머물렀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3일부터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난 환자는 현재 동행한 1명과 함께 제주대병원 음압병실에 격리 치료 중이다. 보건당국은 환자의 동선과 접촉자 등에 관한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백신접종으로 충분히 예방이 가능한 만큼, 생후 12~15개월 및 4~6세 총 2회에 걸쳐 반드시 홍역 백신(MMR)을 접종해야 한다. 1차 접종시 93%, 2차 접종시 97% 예방이 가능하다.
국내에서는 2000~2001년에 대유행한 바 있으며 2001년 홍역 일제 예방접종 실시 후 급감했다.
전 세계적 백신 도입으로 발생이 크게 감소하는 추세지만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동지중해 일부 지역 등 토착 지역에서 여전히 주요 감염병이며, 선진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해외 유입 관련 유행이 지속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해 49명의 홍역 환자가 발생했으며, 모두 해외여행을 다녀오거나, 환자와 접촉해 감염된 사례였다.
홍역 예방을 위해 백신 2회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 24시간 동안 집에서 휴식하고 등원·등교·출근을 자제할 것을 권고한다.
조상범 도 안전건강실장은 “예방접종 미접종자와 1세 미만 영유아 등은 홍역 유행 국가 방문을 자제하고, 불가피한 경우 영유아는 홍역 가속 백신 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한다”면서 “의료기관은 발열, 발진 증상 환자가 홍역 유행 국가 여행력이 있는 경우 홍역을 의심하고 검사와 관할 보건소 신고 등을 철저히 해달라”고 당부했다.
제주 강동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