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올해 가뭄과 폭염 등의 재난과 단수가 발생했을 때 비상 음용수로 쓸 수 있는 병물아리수 90만병을 공급한다고 21일 밝혔다.
앞서 시는 지난해 병물아리수 67만병(350㎖ 55만병, 2ℓ 12만병)을 공급한 바 있다. 이 중 27만병(350㎖)은 쪽방촌 주민과 노숙인, 결식 어르신 등 폭염과 온열질환에 노출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지원했다.
지난해 폭염 기간에는 탑골공원에 아리수 냉장고를 설치해 장시간 폭염에 노출된 어르신에게 병물아리수를 제공하기도 했다. 2023년에는 집중호우로 인명과 재난 피해가 발생한 충청과 경북지역에 병물아리수 7만 3000여병을 공급했고,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대원들의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7만 8000여병을 지원하기도 했다.
이밖에 시는 민방위 대피시설 2181개소에도 병물아리수를 25만병 비치해 재난 발생 등 위급 상황 시 생존에 필요한 비상 음용수로 시민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대비하고 있다.
시는 올해 병물아리수에 친환경 일체형 마개를 도입해 페트병 재활용률을 높인다는 방침을 세웠다.
시는 2018년 병물아리수 350㎖ 페트병의 중량을 기존 19g에서 14g으로 감량한 데 이어 2020년에는 라벨을 없애 재활용이 쉽도록 개선한 바 있다. 2022년에는 화학 염료를 사용하지 않는 레이저로 각인하고, 자난해부터는 병물아리수 전량을 100% 재생 페트병으로 생산해 플라스틱 저감에도 앞장서고 있다.
이회승 서울아리수본부장은 “아리수는 탄소 배출량이 일반 생수보다 639배 낮다는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지난해 12월에 취득했다”며 “재난 상황에 사용하는 병물아리수 생산 과정에도 지속적으로 친환경 정책을 도입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임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