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지금까지 생성형 AI 서비스를 구독제 방식으로 지정된 1개 모델만 이용할 수 있었다. 이를 조직 단위 사용량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용량제 방식의 ‘서울AI챗’을 도입한다는 것으로, 12월까지 업무에 시범활용한 뒤 내년 본격 도입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해부터 생성형 AI를 업무에 시범 적용할 직원을 모집해 ‘신기술 이용료 지원(구독제)’을 시행해 왔는데, 지원할 수 있는 인원 대비 신청자가 3~4배를 넘어서면서 사업 확대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용량제인 서울AI챗이 도입되면 구독제와 달리 챗GPT, 클로드, 제미나이, 퍼플렉시티, 라마, 미스트랄AI, 그록 등 총 29개 모델을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또 비용 측면에서도 구독제를 전직원으로 확대하면 연간 30억원이 필요하지만, 용량제는 연간 2억원 수준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돼 더욱 경제적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앞으로 AI를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행정 도구로 활용, 서울시의 AI행정을 전국 최초에서 ‘전국 표준’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안석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