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기록종 45종 중 25종이 열대·아열대성, 기후변화 환경지표 주목
남해안 섬 지역 국내 미기록종 곤충의 절반 이상이 열대·아열대성 곤충들로 나타나 기후변화의 환경지표로 주목받고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섬과 연안 생물자원 조사·발굴 연구’ 등을 통해 섬 지역에서 국내 미기록종 곤충 45종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연구진이 이들 미기록종을 분석한 결과, 55.5%인 25종이 열대와 아열대성 곤충이며 나머지 20종은 온대·냉대성 곤충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확인된 열대·아열대성 곤충들은 일본 오키나와와 인도 등 적도와 가까운 저위도 지역에서 주로 분포하는 종들로 확인됐다.
제주도에서 ‘닮은모래가는납작벌레’ 등 6종과 거제도에서 ‘푸른줄까마귀왕나비’를 포함한 5종이 발견되는 등 남부 섬 지역을 중심으로 발견됐다.
특히 섬 지역은 외래 생물들이 처음 유입되는 주요 지점으로 내륙 확산의 중간 관문이기 때문에 정밀 조사를 통한 생물상 변화 파악이 중요하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가거도와 흑산도 등 원거리 섬과 제주도, 울릉도 등 국내 주요 섬에서 곤충과 어류, 지의류 등 다양한 열대·아열대 생물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한편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상 변화를 조사하고 있다.
연구진은 또 섬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 45종 중 남방가는나방 등 18종을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했으며 나머지 종들도 학술논문 발표 후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할 계획이다.
노승진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동물자원연구부장은 “섬에서 새롭게 발견되는 미기록종 곤충 가운데 상당수가 열대 또는 아열대성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생물다양성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신호로, 앞으로도 기후변화에 따른 섬 지역의 생물상 변화에 대해 지속적인 조사와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무안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