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부모가 행복한 도시 원주… 아동보육 분야에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헬스케어·천연물·항체… K바이오헬스 메카 꿈꾸는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살기 좋은 도시 영월… 정책 다각화로 인구 감소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 무관심에… 40개 시·군, K패스 ‘교통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멕시코 통상·투자 환경 설명회 열려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멕시코 통상·투자 환경 설명회 열려


- 슈퍼선거의 해, 멕시코 시장의 변화요인 점검 및 니어쇼어링 기회 활용 방안 모색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618() 10, 서울 코엑스에서 한-중남미협회와 공동으로 멕시코 대선 이후 통상 정책 전망과 비즈니스 환경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설명회는 최근 멕시코 대선(6.2)에서 여당 후보 클라우디아 셰인바움(Claudia Sheinbaum)이 당선됨에 따라 향후 멕시코의 통상 정책 기조와 현지 비즈니스 환경에 영향을 미칠 요인들에 대해 기업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마련되었다.



셰인바움 당선인은 현 AMLO 정권의 주요 정책을 계승하겠다고 공언한 바, 멕시코는 향후에도 보호무역기조를 이어가면서 미국 주도의 공급망 재편 과정 속 니어쇼어링 기회를 최대한 살려 글로벌 생산거점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기 위한 방향으로 통상 정책을 펼쳐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설명회에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홍성우 박사는 멕시코의 비즈니스 환경이 이번 멕시코 대선보다도 올해 11월에 있을 미국 대선으로 인해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중국의 우회 수출·`26USMCA 검토·멕시코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 등에 따른 불확실성에 대비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에서는 현지 진출 시 우리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멕시코의 각 지역별 특성과 투자 진출 절차 등에 대해 설명하면서, 단순 비용 절감 차원이 아닌 북미와 중남미 시장 수출 기지로서 접근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장성길 통상정책국장은 개회사를 통해 멕시코 등 제3국을 통한 중국의 우회수출을 견제하려는 미국의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임을 설명하고, “산업부는 미국 정부의 대()멕시코·()중국 통상 정책 기조를 지속 모니터링하면서 우리 기업들의 애로사항 해소 등 멕시코 시장진출을 돕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