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진과 이웃한 강릉시 옥계면 금진항과 강동면 심곡항 일대에서 하루 최대 1만t 규모의 온천이 발견된 것.강릉시는 지난 6월 이 일대 87만여평을 온천원 보호지구로 승인결정을 내리고 종합관광단지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강원도는 정동온천의 금진·심곡지구를 중점투자 대상으로 선정,해외투자 유치를 추진하는 한편 ‘제3차 강원권 관광개발계획’에 따른 관광지 예정지구로 고시했다.
지역 주민의 기대도 크다.금진리 주민 이수익(44)씨는 “일대 580가구 주민들이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보여 온천개발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02년 발견된 정동온천에서는 심도 801∼1006m 퇴적층에서 하루 6000명이 이용할 수 있는 1500t의 온천물이 솟아나온다.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수질분석 결과 1ℓ에 칼슘(Ca)이 1520㎎,마그네슘(Mg)이 929㎎,황산염기가 3440㎎으로 국내 온천 가운데 광물질 함유량이 가장 많은 ‘미네랄 온천’으로 평가받고 있다.온천개발 사업자인 JD 레저&스파는 보호구역에 2000여평 규모의 대형 온천탕을 건립할 계획이다.김정득 대표는 “온천이 나온 지층이 중생대 퇴적층으로 특히 미네랄 함유량이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정동온천은 관광단지로서 천혜의 절경을 갖추고 있다.동해 바다가 펼쳐진 해안가에 깎아지른 50m 절벽 위 분지에 자리잡고 있다.온천원 보호구역인 87만여평 어느 곳에서나 바다가 내려다 보인다.온천단지를 둘러싼 금진항과 심곡항도 규모는 작지만 경관이 뛰어난 미항(美港)이다.이런 까닭에 강원도가 선정한 ‘아름다운 동해안 경관형성계획’ 구역에 편입됐을 정도이다.
온천개발에는 그러나 해결할 과제가 적지 않다.강원도청 관계자는 “보호구역 승인은 온천개발의 첫 단계일 뿐 군부대 이전문제부터 환경성 검토,민간투자와 자금확보 등 관광지 개발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강릉 안동환기자
sunstor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