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사회주택 피해 입주민에 ‘보증금 선지급’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종로구, 156년 만에 ‘서울 문묘와 성균관’ 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강남 양재천에서 즐기는 ‘별빛 요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주민들 지친 몸과 마음 치유하는 양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마니아]“마라톤과 공무원 찰떡 궁합”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우리 동우회의 ‘암호’는 1·3·3·3입니다.전화번호 끝자리가 아니라 매월 1회(1),셋째주 토요일(3),오후 3시(3),3시간(3) 동안 함께 모여 운동하자는 의미죠.”(웃음)

‘서울시청마라톤동우회’ 회장인 최임광 서울시 총무과장은 동우회의 트레이드 마크이자 행동지침이기도 한 ‘1·3·3·3’을 강조하는 것으로 동우회 소개를 시작했다.

서울시청 최대 동아리


지난 21일 정기모임을 가진 서울시청마라톤동우회. 동우회원 136명 전원이 행정공무원이다.
서울시청마라톤동우회 제공
시청마라톤동우회에는 130여명의 공무원들이 속해 있다.마라톤을 좋아하는 직원들은 거의 모두 모인 셈.지난 1999년 1월,36명이 모여 만든 동우회가 5년만에 급성장한 것이다.

당시 우리나라에서 마라톤 붐이 일었던 것도 동우회 발전에 큰 도움이 됐다.공무원 사회에도 마라톤 인구가 급속히 늘다보니 동우회의 인기가 높아지고 더불어 할 일도 많아졌다.

실제로 시청마라톤동우회는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년동안 ‘서울시 단축마라톤대회’를 직접 개최하기도 했다.

“일개 동우회가 행사를 개최하려다 보니 참가인원이 많아지면 대회운영이 어렵겠더라고요.그래서 서울시 25개 자치구 공무원들로만 참가자격을 제한했죠.하지만 그것도 결국 3000명이 넘어가는 바람에 힘들게 됐어요.”

최 회장은 현재 자체적으로 개최하는 대회는 잠정 유보상태라고 밝혔다.대신 서울시에서 주관하는 ‘하이서울한강마라톤’에 시 공무원의 한 사람이자 마라톤 마니아로서 적극 참여할 방침이다.

실제로 이번 대회에 회원 중 100여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동우회 유인오(조사과) 총무는 “일단 목표는 대회 전 부문에 걸쳐 입상하는 것이지만 쟁쟁한 실력자들이 많아 힘들 것 같다.”라며 너스레를 떨기도 했다.

하이서울마라톤대회 100여명 참가

“마라톤 붐이 동우회 발전에 도움이 되긴 했지만 기본적으로 마라톤은 공무원들과 궁합이 잘 맞는 운동이라고 생각합니다.”


제1회 하이서울한강마라톤 대회에서 결승점을 통과하는 최임광 회장.
서울시청마라톤동우회 제공
최 회장은 42.195㎞를 포기하지 않고 달릴 수 있는 공무원이라면 무슨 일을 맡겨도 잘 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마라톤 풀코스 완주가 끈기의 보증수표인 셈.

공무원에게는 다른 능력도 필요하지만 끈기와 인내심 같은 덕목이 무척 중요하기 때문에 인간 한계에 도전하는 마라톤은 공무원이 도전해볼 만한 운동이라는 것이 최 회장의 지론이다.

유 총무도 마라톤하는 데 필요한 능력과 공무원이 갖춰야 할 덕목은 필요충분조건이라는 데 동의한다.

그는 “한 번쯤 심장이 터질 것 같은 고통을 이겨내며 풀코스를 완주해 본 사람이라면 부쩍 자신감이 커진 자신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래서 유 총무는 오는 10월3일 개최되는 ‘제2회 하이서울한강마라톤’ 대회 때 아직 풀코스를 완주하지 못한 회원이 ‘첫 경험’을 무사히 치를 경우 멋진 기념패를 제작해 전달할 계획도 세워두고 있다.

기록 연연치 않고 즐기기

시청마라톤동우회의 제1수칙은 ‘마라톤을 다함께 즐긴다.’는 것이다.마라톤이 혼자 즐기는 개인운동이긴 하지만 적어도 동우회에서만큼은 회원들간의 친목이 더 중요하다는 의미다.

최 회장은 “동우회에서 회원 개개인의 마라톤 실력은 크게 차이가 난다.”면서 “하지만 마라톤을 즐기는 것에서는 모두가 한 마음”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마라톤을 즐기면서 건강을 도모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동우회원들은 기록에 연연하지 않는다.


출발선을 뛰어나가는 회원들의 모습이 밝다…
출발선을 뛰어나가는 회원들의 모습이 밝다.
서울시청마라톤동우회 제공
울트라 마라톤(100㎞ 이상) 경험도 7∼8회나 갖고 있는 김호곤(47·건설안전본부)씨도 “기록을 강조하다 보면 낙오자가 생기고 낙오자가 생기면 동우회가 흔들린다.”고 말했다.김씨는 마라톤에 관한 한 마니아 중의 마니아지만 즐기는 것이 먼저고 기록은 부차적인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시청마라톤동우회는 지난 2년 동안 중단된 ‘서울시 단축마라톤대회’를 부활시킬 준비를 하고 있다.

사실 지난 2년 동안 동우회는 유명무실한 상태였다.하지만 이번에 최 회장을 새롭게 맞으며 조직을 정비해 제2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최 회장은 “동우회원을 1000명까지 늘리는 것이 목표”라면서 “자체 대회 부활과 여성 회원들을 적극 영입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내년 가을쯤이면 건각을 자랑하는 서울시 공무원들이 도로를 질주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 듯하다.

김기용기자 kiyo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지역 곳곳 목소리 전달… 대한민국 전체 바꿀 것”

기초단체장 최초 민주당 대변인 맡은 김미경 은평구청장

‘핫플’ 성수, “1.5조 동네 됐네”

10년 만에 연 경제 가치 3.5배 늘어 외국인 300만명 방문… 50배 급증 기업 유치·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정원오 성동구청장 “정책적 결실”

축제 사고율 0%… 중랑 안전관리 최우수상

AI로 인구 밀집도·혼잡 선제 조치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