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적자원부 김영준(45) 혁신기획관은 교육부의 혁신 방향을 묻는 질문에 ‘교육부’라는 조직의 문화부터 바뀌는데서 혁신이 출발한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여기저기서 ‘혁신, 혁신’하지만 제대로 되려면 ‘나부터 변해야 한다.’는 자발적인 노력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1층 로비에 ‘기왕 하는 일을 제대로 하는 것’이라고 혁신을 정의한 문구도 자발적인 참여를 전제로 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
김영준 교육부 혁신기획관 김영준 교육부 혁신기획관 |
현재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혁신과제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직무성과협약제’를 꼽을 수 있다. 현재 모든 부처에서 4급 이상 서기관급 이상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직무성과계약제를 오는 7월부터 5급에서 7급까지 모든 직원으로 확대했다. 그는 “5급 이하 직원이 전체 일반직의 78.1%를 차지하는 교육부의 특성상 모든 직원이 정책 실무요원으로 거듭나지 않으면 끝장이라는 생각에서 전면 도입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협약제에 따르면 모든 직원들은 정책 성과에 따라 인사와 보상이 결정된다. 이른바 ‘통합성과 관리 지도안’이다. 교육부 직원들은 개인별로 앞으로 1년 동안 업무에 대한 아이디어와 추진의지, 일정 등을 담은 직무성과계획서를 과장이나 팀장에게 내고 6개월 단위로 평가를 받는다. 추진 실적과 수행 방법, 문제점 등에 대해 팀(과)장과 의견을 나눈 뒤 합의를 거쳐 실적을 평가한다. 최우수·우수·보통·미흡 등 4단계로 분류된 결과는 곧바로 매년 말 정기 근무성적평정과 연봉 협약에 반영된다. 이에 따라 과장의 경우 2007년이면 연봉 차이가 최고 1000만원에 이를 전망이다.
김 기획관은 “연공 서열이나 경력 대신 일 잘하는 순서로 모든 것이 바뀌려면 힘든 변화를 모든 직원이 내재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자발적인 공부 모임을 지원하고 전 직원 2박3일 합숙 교육을 추진하는 등 혁신에 대한 두려움부터 없애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재천기자 patric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