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구는 오는 25일까지 주민의견을 듣고 30일 ‘구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이를 심의할 예정이다.
이는 남구가 지난 2002년과 2003년에 교통체증 유발을 우려해 도시계획 입안을 두 차례 거부한 것과는 달라진 태도다.
남구는 “건립 부지의 대남로 측면은 길이 166m 너비 3m, 회재로 쪽은 길이 71m 너비 3m, 도심철도 폐선부지 쪽은 길이 144m 너비 5m의 토지를 양보하는 등 모두 800평을 도로로 내놨다.”며 “달라진 주변 교통여건과 업체간 형평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삼성테스코 측은 백운광장 주변의 교통체제 개선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사업추진이 어렵다고 판단, 최근까지 사업부지에 대한 분할 매각 등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진 시 건설국장은 이와 관련,“백운고가는 지난해 행정자치부로부터 ‘위험도로 개선사업지구’로 지정된 만큼 늦어도 2008년까지는 철거돼야 한다.”며 “제2순환도로와 평동산단 진입로 등 주변 교통여건 변화로 이 고가도로가 철거된다 해도 극심한 교통체증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도시미관과 주변 상권 활성화를 위해 가능한 한 빨리 이 고가도로를 철거할 방침”이라며 “고가도로 철거로 형성될 평면교차 지점의 교통운영 방안은 여건이 비슷한 울산의 ‘공업탑 로터리’ 신호체계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삼성테스코 쪽은 “백운고가가 철거될 경우 ▲상권 활성화 ▲경관 개선 ▲땅값 상승 등 유리한 조건이 조성되는 게 사실”이라며 “그러나 고가 철거와 할인점 건립을 연결시키는 것은 억지”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삼성테스코는 홈플러스를 건립하기 위해 2000년 12월 250억여원을 들여 옛 남부터미널 부지를 사들인 뒤 2001년 3월∼2002년 12월 세 차례 교통영향평가 심의를 요청했으나 교통개선 대책이 미흡하고 시유지인 도시계획도로 부지를 매입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통과를 거부당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