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구청장 성낙합)는 5일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서울 생가터는 서울시사편찬위원회와 한글학회가 1956년 답사하고, 최근 중구가 토지대장을 확인한 결과 지금의 중구 인현동1가 31의 2라는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1545년 4월28일생인 이순신 장군이 태어난 곳의 당시 지명은 건천동이었다.
중구는 이같은 고증결과를 바탕으로 생가 복원과 기념관 건립을 위한 ‘충무공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 이문원 전 독립기념관장, 이인섭 성웅이순신연구소장, 거북선 모형 제작사 안광일 대표와 ‘불멸의 이순신’ 동화 작가인 자운초등 신동일 교사 등 역사·건축학계 관계자 51명으로 이뤄졌다. 시설물건립분과와 기념축제추진분과 등 2개 소위원회를 갖추고 6일 오후 3시 충무아트홀에서 발족한다.
지난 7월22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2차 답사결과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생가는 인현동1가 31의2 일대 21평 규모로 추정됐다.
문제는 생가 인근에 인쇄소 등 소규모 업체들이 밀집해 있어 생가복원의 여건이 나빠 우선 국내·외 관광객이 많이 찾는 남산골한옥마을에 직사각형 방 네칸을 갖춘 단층 맞배지붕 형태의 전통가옥으로 사당을 세울 계획이다. 늦어도 내년 4월 기공한다.
충무공 기념관은 중구 초동 18의5 명보극장 인근에 들어선다. 서울시가 고증을 거쳐 충무공 탄생지를 알리는 표석을 설치한 곳이다. 대지 300평, 건평 100평, 지상 5층 규모다.
거북선과 장군의 일대기, 유물 등이 전시된다. 일부 박물관으로도 활용해 어린이 교육장 역할을 하도록 한다. 충무공 축제도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마련한다. 탄신일 전후로 9일동안 열린다.25일 열리는 충무공에 대한 퀴즈와 체력측정 등을 통해 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 5개 분야에서 10명을 뽑는 소년 이순신 선발대회가 열린다.
국립극장 옆 석호정에서는 24∼28일 초·중·고교생들이 참가하는 현장체험학습이 개최된다.21∼28일 충무아트홀 전시관에서는 충무공 시서화전이,26일엔 충무공 관련 세미나가 예정돼 있다. 마지막날인 28일에는 명보극장 생가터 앞에서는 기념식과 거북선 퍼레이드가 펼쳐진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