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나(하와이 말로 십장)’들은 툭하면 채찍을 들었고, 이름 대신 번호를 불렀다. 임금은 남자가 하루 1달러 25센트, 여자는 50센트에서 60센트 받는 것이 고작이었으나 저축하거나 본국에 송금하면서 망향의 슬픔을 달랬다.
하지만 한국인의 근면성과 뚝심은 이곳에서도 여지없이 발휘돼 이민자들은 불볕더위 속에서도 억척스럽게 일했다. 이로 인해 농장주들로부터 좋은 평판을 받아 자리를 점차 잡아가자 일본 이민자들이 “조선인들 때문에 일자리를 잃게 됐다.”며 자국 정부에 항의하는 사태가 빚어졌다.1905년 을사보호조약 체결 이후 한국인의 하와이 이민이 금지된 것은 이 때문이다.
하와이 이민자들은 경제력뿐 아니라 자식에 대한 교육열도 대단했다. 때문에 1930년대에는 소수민족 최고의 학력 수준을 자랑했고, 백인에 버금가는 경제적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
그런데 큰 고민거리가 하나 있었다. 당시 교민사회는 남자가 여자보다 무려 10배나 많아 결혼하지 못한 노총각이 즐비했다. 이 결과 이민 촌락의 풍기가 문란해지자 농장주나 하와이 당국은 이민자들의 결혼을 장려하게 되었다. 문제는 이들이 현지 처녀가 아닌 조선 처녀만을 고집한다는 것이었다.
이래서 등장한 것이 ‘사진 신부’다. 먼저 하와이 총각의 사진을 조선으로 보내고, 조선의 처녀가 그것을 보고 마음에 들면 하와이로 건너가 결혼하는 방식이었다. 최초의 사진 신부는 1910년 11월28일 하와이 호놀룰루항에 도착한 최사라로 그녀는 이래수의 부인이 되었다.1910년부터 1924년까지 하와이로 간 사진 신부는 951명이었고, 미국 본토에서도 151명의 신부가 하와이로 건너왔다. 사진만으로 배우자를 선택하다 보니 예기치 못한 갈등을 겪기도 했지만, 결국 가정을 이루게 되었고 한인 사회는 점차 안정을 찾아갔다.
이즈음 이민 1세대들이 독립운동을 적극 지원했다는 것은 하와이 이민사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대목이다. 당시 교민사회는 거의 공개적으로 돈을 모아 해외 독립운동을 지원했으며, 스스로도 ‘국민회’‘동지회’ 등을 조직해 독립운동을 펼쳤다. 특히 그들이 독립운동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공채를 발행한 것은 독립운동사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일이다. 그들은 하와이나 중국 등지에서 펼쳐졌던 독립운동에 큰 도움을 주었다.
그뿐이 아니었다. 해방이 되자 그들이 가장 먼저 한 일은 이민의 출발지요, 고향인 인천에 대학을 세우는 것이었다. 교민들은 수십만달러라는, 당시로서는 거액을 보내 인하공대의 건립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인천과 하와이의 혈연적 유대를 잊지 않도록 그 이름도 ‘인하(仁荷)’라 했다. 향토사학자인 조우성(58·인천광성고 교사)씨는 “하와이 교민들은 국권 상실이 나라의 힘이 약했던 데서 비롯됐으며, 이를 배양하자면 2세 교육이 급선무라고 판단하고 고국의 대학 설립에 적극 나섰던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시는 이민 한 세기를 기려 2003년 호놀룰루시와 자매결연을 맺었으며, 하와이 동포들은 인천·하와이 미술교류전 등을 개최하며 인천시민들과 따뜻한 정을 나누고 있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