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책임운영기관 중 한 곳인 국립의료원은 오는 4월2일 법인이 돼 독립한다. 정부가 2000년부터 설치한 39곳의 책임운영기관 중 기관 전체가 법인화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따라서 국립의료원 법인화가 잡음 없이 마무리돼야 다른 책임운영기관에 대한 법인화도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하지만 국립의료원 공무원노동조합은 7일 성명서를 내고 “정부가 아직도 신분 문제에 대해 공식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며 불만을 표출했다. 국립의료원 직원은 공무원 신분을 유지할지, 민간인 신분으로 전환할지를 선택할 수 있는데 공무원 신분을 갖겠다는 사람에 대한 대책을 정부가 아직 공표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김은희 노조위원장은 “법인화 시기가 3개월도 채 남지 않았는데 정부는 노조와 적극적인 대화를 하고 있지 않다.”면서 “대다수 직원이 큰 혼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국립의료원 직원 700여명 가운데 현재 공무원 신분을 유지하고 싶은 직원은 5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인사교류를 통해 국립의료원이 아닌 다른 공공기관에 배치되거나 남더라도 파견근무 형식으로 전환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노조는 또 서울 을지로에 있는 국립의료원이 외곽 지역으로 이전할 것이라는 소문이 있다며 이에 대한 정보도 공유할 것을 요구했다. 더불어 법인화 이후 병원의 보수, 직제, 직급별 정원, 복리후생, 근로조건 등에 대한 정보도 함께 공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현재 이들에 대한 여러 대책을 강구 중”이라면서 “의료원 이전 문제 등은 노조와 협의할 사안이 아니다.”고 말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0-01-0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