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22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안 의사의 유해발굴 사업을 한·중·일 3국이 공동으로 진행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힌 데 따른 후속 조치들이다.
3국 외교장관 회담에서 순조로운 논의가 이뤄질 경우 5월 말 제주도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담에서도 이 문제가 다뤄질 가능성이 있다.
국가보훈처는 이날 “유해를 고국에 묻어 달라는 안 의사의 유언을 받들고 유해 발굴을 염원하는 국민들의 소망을 이루기 위해 합동유해발굴추진단을 구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발굴단은 보훈처 당국자를 단장으로 외교통상부 등 관련부처 관계자와 역사학자, 독립기념관 관계자 등 10여명으로 이달 말까지 구성되며 다음달부터 활동에 들어간다.
이들은 앞으로 안 의사 유해가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 뤼순(旅順) 감옥 일대에서 재발굴 작업을 펼치고 중국과 일본, 러시아 등이 소장한 안 의사 관련 자료 확보에 나설 예정이다.
앞서 보훈처는 2006년 6월 남북이 공동 유해조사단을 중국 다롄(大連)에 파견해 뤼순 감옥 북서쪽 야산을 유해 매장 추정지로 확정하고 2008년 3~4월 남측 단독으로 29일간 발굴작업을 벌였으나 안 의사 유해를 발견하지 못했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2010-03-25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