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감사원은 12월 말 정기인사에 이어 다음 해 6월 말 소폭의 인사를 단행한다. 하지만 이번에는 인사의 폭이나 시기에 있어서 예상을 뛰어넘는 것이어서 화제가 되고 있다.
이를 두고 ‘오비이락(烏飛梨落)’이라거나 ‘국방부 감사와 관련이 있지 않겠느냐.’는 분석까지, 해석이 분분하다.
물론 감사원은 펄쩍 뛴다. 이들의 퇴임은 연초부터 예정돼 있었던 것으로 국방부 감사와는 전혀 무관하다는 것이다. 감사원 관계자는 “두 사람의 퇴임 가능성은 이미 천안함 사건 전부터 거론돼 왔다.”면서 “국방부 감사와는 1%의 관련성도 없다.”고 부인했다.
하지만 천안함 감사 결과를 놓고 국방부와 감사원이 갈등을 빚은 적이 있어 당시 감사 책임자의 전직은 이래저래 관심사가 되고 있다.
19일 감사원에 따르면 오는 26일쯤 단행 예정인 감사원 인사규모는 모두 30여명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천안함 사건을 감사했던 책임자급 고위감사관 2명이 외부기관으로 자리를 옮기고 공공기관 감사에 관한 법률(공감법) 시행으로 빈자리가 많이 생겼기 때문이다.
감사원은 현재 실장급 자리인 감사교육원장 자리가 3개월 넘게 비어 있다. 또 천안함 사건 이후 국방부 감사를 총괄 지휘했던 박수원 감사원 제2차장이 최근 금융감독원 감사로 자리를 옮겨 실장급 자리 2곳이 비어 있다. 역시 국방부 감사를 현장 지휘했던 박시종 행정안보감사국장과 성기택 자치행정감사국장도 최근 금융기관 감사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또 다른 국장급 2명이 외부조직에 응모한 것으로 알려지는 등 최근 1~2개월 사이 감사원의 국·실장급 고위감사관 10여명이 자리를 비우게 됐다.
이에 따른 인사규모는 1급 승진자 2명을 포함해 국·과장급 승진자만 15명선에 이른다. 여기에 공감법 시행에 따른 후속 조치로 국장급 1명과 과장급 2명이 필요한 공공감사운영단이 신설돼 자리이동에 있어 과장급 이상 고위감사관이 30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제2차장에는 김용우 감사연구원장이, 3개월 넘게 공석인 감사교육원장 후임에는 윤영일 재정경제감사국장이, 신임 공보관에는 김상윤 전략과제감사단장 등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동구기자 yidonggu@seoul.co.kr
2010-07-2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