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내에선 노조와 갈등을 빚고 있고, 밖으로는 정부지원금 반납 문제로 교육과학기술부와 정면 충돌하고 있다. 내우외환에 휩싸인 꼴이다.
행정직원 125명으로 구성된 청주대 노조는 오는 19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학교 측이 노조 활동 전반을 크게 위축시키고 있다는 게 가장 큰 이유다.
노조는 전임자 임금 지급, 김윤배 총장의 독단적인 학교 운영 중단도 요구하고 있다.
18일까지 양측의 협상이 진행될 예정이지만 현재로선 합의점을 찾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게 노조 측 얘기다.
박용기 청주대 노조 지부장은 “지난 8월 말 학교가 사무처 5급 팀장 12명을 사실상 강제로 노조에서 탈퇴시켰다.”면서 “총장이 팀장들에게 지시해 팀원들의 노조활동을 못 하도록 하면 결국 노조는 제 목소리를 낼 수 없다.”고 걱정했다.
팀장 12명의 집단 탈퇴로 노조에 가입된 팀장은 현재 한 명도 없다.
학교 측은 관리자급인 팀장들이 노조에 가입하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는 생각에 팀장들이 공감하면서 자율적으로 탈퇴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청주대는 교과부와도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전임 교원 확보율을 부풀려 정부지원금 37억원을 받아낸 사실이 드러나 교과부가 12일까지 지원금 전액 반납을 통보하자 이를 거부하고 행정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이런 움직임에 대해 학교 구성원들은 회의적인 반응이다. 교과부가 부속기관 교원은 전임 교원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어 소송 제기가 학교 행정력만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청주대는 앞서 지난 8월에 교과부의 교원양성기관 평가에서 C등급을 받아 1년 안에 자구 노력을 하지 않으면 사범계 학과 입학 정원 20% 감축 등의 제재도 받아야 한다.
청주 남인우기자 niw7263@seoul.co.kr
2010-10-13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