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는 시간제 근무를 시범운영하는 20개 행정기관 소속 남녀 공무원 1천66명을 대상으로 8월30일부터 10월1일까지 설문조사(한국여성정책연구원 양인숙 박사팀)한 결과,27.1%가 시간제 근무로 전환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고 16일 밝혔다.
시간제 근무는 공무원이 원하면 통상적인 근무시간인 주 40시간보다 짧은 주 15∼35시간 일하는 것으로,지난 4월부터 활성화됐다.
시간제 근무로 전환하고 싶은 이유로는 미취학 자녀의 육아 및 취학아동 교육이 39.1%로 가장 높았고 자기계발(31.5%),가족과 좀 더 많은 시간을 갖기 위해서(14.5%)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시간제 근무로 전환한 공무원 40명을 포함해 해당 부서장과 동료,인사 담당자 등 12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한 결과에서는 육아 및 자녀 교육이 85.0%를 차지한 반면,자기계발은 12.5%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시간제 근무로 전환한 공무원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1점으로 나타났으나,근무 시간에 비례한 급여 체계로 인해 급여가 줄어든 것은 어려운 점으로 꼽혔다고 여가부는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