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기준 행정안전부 자료에 따르면 승진소요 연수는 부 단위가 평균 27.6년, 정부 외청은 27.5년에 달했다.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광역지자체는 25.9년, 기초는 무려 30.05년이나 됐다.
법정승진소요연수(12년)와 2배 이상 격차가 났다.
또 지방자치단체에서 6급에서 5급으로 승진하는 데 평균 11.6년이 걸려 승진소요 연수가 가장 길었다. 중앙 행정기관은 9.7년이다.
|
지자체 중에서는 도가 21.9년으로 가장 짧은 반면 기초단체인 시는 30.2년에 달했다. 광역시는 27.6년, 특별시는 28.4년, 기초단체인 군에서는 29.9년이 소요됐다.
☞ [공직 대해부] 특집 시리즈 기사 보러가기
대전시의 한 관계자는 “9급으로 들어오면 사무관으로 퇴직하는 것이 보편화됐다.”면서 “더욱이 고시출신의 유입이 많아지면서 사무관 승진 기회는 점점 줄어들지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사무관은 국가직의 경우 1만 2112명으로 11.9%를 차지한 반면 지방직은 1만 5261명 8.1%로 집계됐다.
직급별로는 국가직은 6급이 2만 4979명(24.5%), 지방직은 7급이 5만 8669명(31.2%)으로 공무원 숫자가 가장 많았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1-01-0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