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경관 고려 3층 높이 종친부건물 원위치 복원
서울시는 12일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어 종로구 소격동 국군기무사령부 이전 부지에 대한 특별계획구역 세부 개발안을 통과시켰다고 13일 밝혔다.2만 7303㎡ 규모의 이 부지에는 내년 완공을 목표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을 짓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시는 우선 이곳에 용적률 73.88%, 높이 12m(3층) 이하의 저층의 분절된 형태로 된 건축물을 짓도록 했다. 류훈 도시관리과장은 “주변 한옥 경관을 고려해 국립현대미술관 건축물의 높이를 이같이 계획했다.”고 설명했다.
기무사 터에는 또 국립현대미술관 본관 인근인 종로구 화동 정독도서관으로 이전했던 종친부(조선시대 역대 국왕의 계보와 초상화를 보관하고, 국왕과 왕비의 의복을 관리하던 관서) 건물이 원위치 복원되며, 기무사 본관 건물은 보존된다. 위치와 형태 등에 대해 자문을 거쳐 규장각터 표석도 설치한다.
류 과장은 “북촌과 경복궁 등 주변 환경과 어울리는, 열린 공간을 만들어 세계적인 역사도시 서울의 중심이라는 품격을 높이는 명소로 가꾸겠다.”고 말했다.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
2011-01-1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