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대구와 부산시 등에 따르면 한국콘텐츠 진흥원, 게임산업협회 회원사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실사팀이 지난 3일과 4일 문화체육관광부에 유치 신청한 대구, 부산, 경기 등 3개 지역을 차례로 방문해 조사를 마쳤다. 개최 후보지는 이달 중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는 지스타 유치를 통해 지방 최대 게임산업 ‘1번지’로 재도약한다는 구상이다. 지방 최대 게임 시장을 표방하는 건 물론, 게임 특화분야 육성 정책과 집적도가 높은 문화산업 클러스터 및 경제자유구역 조성, 게임 개발 역량을 갖춘 입지, 탄탄한 융합콘텐츠 기반 등을 무기로 내세우고 있다. 또 엑스코 확장과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대비한 숙박시설 확충 등 으로 공간적 약점도 보완한 것으로 분석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올해는 세계육상선수권대회가 열리고 대구방문의 해이기도 하다. 이같이 전 세계인의 관심이 집중된 대구에서 지스타를 개최하면 대한민국 게임을 해외에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부산은 5~6회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것이 큰 강점이다.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4회때 보다 부산에서의 두 차례 행사가 관람객과 참가 기업, 수출 상담액 등에서 두 배 가까운 성과를 올렸다. 부산은 또 대구에 견줘 상대적으로 여유있는 전시공간과 숙박시설 등을 장점으로 꼽고 있다. 부산 벡스코 1층 전시회장만도 2만 6508㎡로 대구 엑스코 전체 면적 1만 7424㎡보다 넓다.
부산시 관계자는 “지스타 연속 개최를 기반으로 게임산업을 부산의 신성장 동력으로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1회~4회 지스타 게임 전시회 경험 등을 내세우며 유치를 희망하고 있다.
부산 김정한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11-03-0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