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혁세 원장 “관행과 결별해야” 금감원 개혁 TF에 금감원 빠져
봄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가운데 워크숍 시작 전에 흡연 공간에 삼삼오오 모여 조직의 앞날을 걱정하는 모습도 보였다. 저축은행 감독 부실과 ‘부패한 조직문화’에 대한 국민의 질타가 이어지는 가운데 참석자들도 ‘조직의 최대 위기’라는 데 이견이 없었다.
일정은 오후 3시부터 9시까지 6시간에 걸친 강행군이었다. 전체 휴식시간도 한 시간이 못 되고, 저녁식사도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되는 마지막 세션인 분임 토의 및 발표를 하면서 도시락으로 때웠다.
권 원장은 ‘쇄신방안과 관련한 당부’라는 제목의 강연을 통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익숙했던 관행과 결별할 각오를 해야 한다.”고 질타했다. 김영대 부원장보도 “보다 투명하고 일관된 자세로 감독업무에 나서야 한다.”며 “직원들의 재량권보다는 시스템에 의한 감독이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각오들 다졌다.
워크숍에 참석한 전성인 홍익대 교수 등 외부인사들의 쓴소리도 이어졌다. 전 교수는 “기관의 목표 설정을 명확히 하고, 보상과 채찍, 권한과 책임에 있어 균형을 맞추는 쪽으로 조직을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금감원이 정치권에 줄 대려 하지 않고 외부 청탁에서 자유로워지고, 책상에 앉아 감독 업무만 하기보다는 현장에서 발로 뛰는 조직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주문도 나왔다.
자기 반성도 적지 않았다. 금감원 모 국장은 “후배들에게 면목이 없다. 이번이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하고 모든 것을 바꿔야 한다.”고 했고 다른 참석자들도 “외부의 압력과 청탁, 로비에 맞서려면 우리 자신부터 뼈를 깎는 희생을 감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무총리실이 주도하는 금융감독원 개혁 태스크포스(TF)에 금감원은 배제됐다. 권 금감원장은 워크숍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금감원 개혁 TF에 금감원은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개혁 대상 기관인 금감원이 TF에 참여하는 게 적절치 않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민·관 합동으로 다음주 가동되는 금감원 개혁 TF는 금감원의 권한, 조직형태, 내부 감찰, 퇴직자 취업 등 논란이 됐던 문제들에 대해 사전 가이드라인 없이 백지상태에서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1-05-07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