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불편 이용객 줄어 적자…장비 부족으로 선수도 외면
수백억원을 들여 국내 최대 규모로 만든 대구 북구 금호동 대구사격장이 이용자가 거의 없어 매년 적자에 허덕이는 등 애물단지로 전락했다.16일 대구시설관리공단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10월 말까지 대구사격장 이용자 수는 월평균 4만 7200여명에 불과했다. 3월에는 3264명으로 하루 평균 방문객이 105명에 그쳤다. 성수기인 8월에도 이용자는 6000여명에 머물렀다. 평일엔 하루 방문객이 수십명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구시는 매년 대구사격장에 9억 500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올 들어 벌어들인 수입금은 4억 6000만원에 불과해 올해 4억여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2009년에도 4억여원, 지난해에는 2억 7000만원의 적자가 발생했다.
대구사격장은 국비 225억원을 포함해 495억원을 들여 2008년 11월 문을 열었다. 이처럼 대구사격장이 시민들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는 이유는 입지선정이 잘못됐기 때문이다. 사격장이 위치한 곳은 주변 큰 도로와 멀찌감치 떨어져 있지만 이곳을 오가는 버스나 지하철 노선은 없다.
여기에다 전자표적 시스템 같은 기본적인 장비조차 없어서 국제대회 개최는 꿈도 꾸지 못하고 있다. 또 클레이 사격장에는 접시 방출기 소음이 심한 데다 표적이 일정한 궤도를 유지하지 못해 선수들이 외면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사격장 운영을 활성화하기 위해 운영자를 교체키로 했다. 지난 14일 사격장 본관동에서 응모할 단체 등을 대상으로 현장 확인 및 사전 설명회를 열었으며 30일 수탁기관을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