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조사단 “안전” 결과 발표…수중촬영 입증못해 의혹 여전
정부가 최근 일부 구간 유실 논란을 빚었던 새만금 방조제에 대한 정밀 조사 결과, 붕괴 우려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일부 언론에서 제기된 구간에 대해서는 수중촬영을 통한 입증에 실패해 의혹을 명확히 해소하지는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이번 조사는 일시에 256개의 음파빔을 쏴 해저지형을 3D도형으로 정밀하게 구현하는 멀티빔 조사와 영상탐사, 조류 속 측정, 잠수 조사 등 종합적으로 이뤄졌다. 농식품부 이상길 1차관은 브리핑에서 “멀티빔 조사 결과 방조제 최종물막이 공사(2006년 4월) 이후 2007년 측정한 자료와 이번 측정자료를 비교한 결과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2호 방조제 조류 속 측정결과 초속 0.19∼0.46m로 조류에 의한 방조제 사석(틈을 메운 돌)의 유실은 일어날 수 없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민관합동조사단의 잠수 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30명의 다이버를 동원해 수중촬영을 실시했지만, 일부 언론이 제기한 지점을 명확히 찾아내지 못해 의혹은 더 증폭되는 양상이다. 잠수부들과 함께 수중촬영에 직접 참여한 정동남 한국구조연합회장은 “수심 15m 정도 내려가니 시야 확보가 안 돼 촬영이 불가능했다.”며 “돌이 떨어지면서 울퉁불퉁하게 파인 곳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차관은 잠수 조사 결과에 대해 “수중 촬영은 정확한 지점을 파악하기 어렵고 방조제 구간 전체를 볼 수 없기 때문에 과학적인 방법이 될 수 없다.”면서 “멀티빔과 영상조사를 완전히 신뢰할 수는 없지만 3가지 조사 결과를 통해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농식품부는 조사 결과와 관계없이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방조제 등 시설물에 대한 일상점검을 연 4회에서 연 6회로 강화하고, 매년 방조제 주변해역의 지형 등 환경변화를 조사해 방조제 유실 등이 우려되는 지역은 더 정밀한 조사를 통해 원인을 규명하고 대책을 강구할 예정이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1-12-07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