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피해 482곳 복구율 30% 못 미쳐
지난해 경기지역에서 발생한 수해 복구율이 3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일선 지자체의 늑장 행정으로 우기를 코앞에 두고서야 복구를 서두르는 일이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22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7~8월 발생한 태풍과 집중호우로 도내 22개 시·군 482곳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이에 도는 수해 현장 복구를 위해 347억원을 투입, 오는 6월 우기 전까지 복구공사를 마친다는 계획이다.
나머지 367곳 중 80곳(17%)은 아직 공사 중이며, 절반이 넘는 287곳(59%)은 아직도 설계 중이거나 발주를 위한 행정절차를 밟고 있다.
시·군별로 보면 수해가 가장 심해 우심 지역으로 지정됐던 연천군은 총 177곳의 수해현장 가운데 단 5곳(3%)만이 복구를 끝낸 상태다. 가평군은 아직 단 한 곳도 복구가 완료되지 않았으며, 광주시(12%)와 화성시(10%) 등도 완료율이 저조하다. 반면 여주군(94%)과 양평군(85%), 파주시(68%)와 남양주시(68%) 등은 완료율이 50%가 넘는 등 사업이 빠르게 진행돼 대조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도내 수해복구 사업이 지연되는 이유는 감정평가와 사전환경성 검토, 측량, 보상협의 등 행정절차가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연말부터 계속되고 있는 한파와 폭설 등도 공사 지연에 한몫했다.
도는 이같이 수해복구 공사의 속도가 더디게 진행됨에 따라 우심 지역인 연천군에 수해복구 태스크포스를 꾸려 추진 상황을 수시로 점검하도록 했으며, 나머지 시·군에는 행정 절차를 서둘러 공사를 조기 발주하도록 주문했다.
도 관계자는 “연천군의 경우 군사 시설이 많아 사업이 다소 지연되고 있으나 늦어도 6월 우기 전까지는 모든 공사를 마무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13-01-2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