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천·경기 현안 17건 중 3년간 1건만 합의
수도권 경쟁력 강화와 광역정책의 효율적인 조율을 위해 2009년 서울·인천·경기가 공동으로 설치한 ‘수도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 무용론이 일고 있다.그러나 단체장들이 현안을 논의하는 위원회는 지금까지 일곱 차례만 열렸다. 그나마 네 차례는 서면 형식이었다. 이 때문에 ‘상생 선언문’만 남발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금까지 주요 관리 과제는 17건이다. 하지만 합의가 이뤄진 것은 수도권매립지 내 아시안게임 경기장 건설 문제 한 건에 불과하다. 수도권 일자리 공동정보망 구축에는 인천이 예산 부족으로 불참했고, 수도권 관광협의회 구축은 강원·충북까지 관련된 사안이라 별도의 협의회를 운영하기로 했다. 제2경인고속도로∼강남순환선 연결은 공동협력 부분이 없다는 이유로 종결됐고, 수도권 클린에어협의회 구성은 박원순 서울시장이 된 뒤 유야무야됐다. 나머지 12건은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대해 특성과 여건이 다른 3개 시·도(특별시·도·광역시) 현안을 공동안건으로 묶어 합의를 도출하려다 보니 제 기능을 못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자체별로 이해관계가 첨예한 사항을 공동의 이해에 부합시키려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쓰레기장·화장장 등 기피시설 문제, 수도권매립지 사용기한 연장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입장 차이만 드러낸 채 겉돌고 있다. 수도권 광역경제발전위 사무국 관계자는 “위원회가 협의기구라는 한계 때문에 애로가 많다”고 말했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
2013-01-2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