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구 다문화알리미 강사 결혼이주여성 11명 활약
“아아아~, 고마워라 스승의 사랑~”15일 오전 서울 송파구 거여동의 거성어린이집. 아이들이 ‘스승의 은혜’를 부르며 고사리손으로 정성스레 만든 카네이션을 선물하자 몽골에서 온 미가(32)씨의 얼굴에는 흐뭇한 미소가 번졌다.
|
송파구에서 다문화알리미 강사로 활약하는 몽골 출신의 미가(오른쪽)씨가 15일 서울 송파구 거여동 거성어린이집에서 원생들에게 몽골 전통 의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송파구 제공 |
2008년 결혼해 한국으로 온 그는 지난해 5월부터 송파구에서 운영하고 있는 다문화알리미 강사로 일하고 있다.
다문화알리미 교육은 한국 사회에 적응을 마친 결혼이주여성들을 강사로 파견, 지역 사회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에게 모국의 문화를 알리는 사업이다.
미가씨는 매일 지역 내 어린이집부터 고등학교까지 돌아다니며 모국인 몽골의 언어와 문화를 가르친다.
아이들은 한 번도 접해보지 못한 몽골에 대해 배울 수 있고, 미가씨는 고국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한 경험을 살리니 일석이조다.
그는 “아이들이 몽골에 대해 관심을 가져주고 몽골어로 인사하는 모습을 보면 참 예쁘다. 언어는 다르지만 한국이나 몽골이나 사람 사는 모습은 다 같다는걸 가르쳐주고 싶다”고 말한다.
미가씨처럼 송파구에서 다문화알리미 강사로 활약하는 결혼이주여성은 5월 현재 7개국 출신 11명이다. 일본이 3명으로 가장 많고, 중국·필리핀(2명)에 이어 캄보디아·몽골·베트남·인도네시아 출신 강사가 각각 1명씩 있다.
모두가 다문화사회 이해, 교수법, 소양교육 등 80시간 이상의 교육과정을 거친 전문 강사들이다.
2010년 시작된 다문화알리미교육은 지난해 들어 대폭 확대됐다. 53개 교육기관에서 1600명의 어린이와 학생들에게 체험학습, 스토리텔링 등 다문화 교육을 진행했다.
김정흔 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팀장은 “교육을 받은 어린이들이나 심지어 교사들까지 문화 자극을 통한 인식의 변화를 느낄 수 있었고 다문화에 대한 수용 능력이 깊어지는 것을 경험했다”고 효과를 설명했다.
박춘희 구청장은 “우리나라가 이제는 다문화사회로 들어선 만큼 다문화 이해를 위한 교육이 확산되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올해 안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까지 다문화 알리미 강사를 확대 파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희 기자 haru@seoul.co.kr